- 웹 로그분석 툴이라고 2005년에 출시된 데이터 분석 툴
- 전환율 -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는 근본적인 이유
- 중요한 데이터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, 유도하고자 하는 행동을 사용자가 실제로 행했을 때 전환했다고 말함
- 사용 목적
- 고효율 매체
- 높은 전환율에 따라 효율적 광고비 지출을 위한 고효율 매체 검색 필요
- 고품질 유저
- 전환율이 높은 유저 탐색 필요
- 고관여 행동
- 쇼핑몰 상세 페이지의 경우 (스크롤 횟수 50% 이상, 리뷰 조회 10초 이상, 체류시간 1분 이상) 어떤 사용자가 전환율이 높은가?
- 고효율 매체
- OKR(Objective Key Results) : 비즈니스가 존재 이유 혹은 마케팅 캠페인의 최종 목표
- KPI(Key Performance Indicator) : 우리가 설정한 OKR의 목표 달성 여부를 측정하는, 숫자로 치환 가능한 최종 목표
- OKR(최종 목표)에 따라서 KPI(성과지표)는 달라질 수 있음
-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 > 데모 계정 액세스
- https://analytics.google.com/analytics/web/?utm_source=demoaccount&utm_medium=demoaccount&utm_campaign=demoaccount#/report/visitors-demographics-age/a54516992w87479473p92320289/
- 데모 계정
- 실시간 리포트 : 지금 이 순간의 데이터 및 고객 현황을 보여줌
- 테이블 리포트를 해석할 수 있으면 70%의 구글 애널리틱스 리포트를 분석할 수 있음
- 측정 기준
-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에 있어 데이터를 바라보는 기준점
- 측정 항목
- 측정 기준
- 전환율이 높은 고객은 고품질 유저이므로 전환율 기준으로 비즈니스를 이끌어야 함
- 획득 카테고리
- 해당 웹사이트 접속 경로에 대한 인사이트 제공
- Orgainc Search : 다음,네이버,구글과 같은 키워드 검색으로 유입된 사용자
- Social : 페이스북, 인스타, 트위터 등 SNS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
- Direct : URL 검색, 즐겨찾기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 , 사전적 의미는 Referral URL이 없는 것(ex-쇼핑몰을 방문하기 이전)을 의미함
- Referral : 해당 웹사이트 이전의 URL에서 유입된 사용자
- Paid Search : Organic Search의 반대말로, 자연적으로 유입되지 않음, 유료 광고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 (네이버 파워링크, 다음의 검색 광고 상품 등이 해당됨)
- Affiliates: Referral URL 중 제휴,계열사 사이트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
- Display : 구글 디스플레이 배너 광고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
- Other : 기타 방법으로 유입된 사용자
- 채널 리포트의 Default Channel Grouping은 GA가 임의로 사용자의 방문경로를 구분해 놓은 유입 채널 값
- 소스/매체 리포트
- 각 채널을 자세히 보여주는 리포트
- 유입 경로를 확인하고 광고 배치 고려 가능
- UTM 매개변수 : 웹사이트 랜딩페이지 URL에 유입경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붙이는 작업
- Direct를 없애기 위해 외부로 송출되는 웹사이트의 URL들에 추가 정보를 붙여주는 작업으로, 이를 통해 GA 소스/매체에서 유입경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음
- url builder
- source : 플랫폼의 이름
- medium : 유입 방식
- UTM 매개 변수를 통해 GA소스/매체에서 유입경로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음
- 행동 리포트 카테고리
- 고객의 웹사이트 행동 여정에 대한 인사이트를 모은 리포트
- 100명 방문 - 웹사이트 - 10명 결제 - 10% 전환율
- 페이지 측정 기준 : 사용자 수 측정 불가, 전환율 확인 불가 (사용자수1, 페이지 뷰3)
- 이탈률 (Bounce Rate)
-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도달 후 이탈하는 비율
- 이탈률이 50%이면 건강한 쇼핑몰, 70% 이상은 문제가 있음 (개선이 시급한 페이지)
- 이탈률 내림차순 정렬 -> 페이지뷰 수 가중치 부여 -> 데이터 시각화
- 방문 페이지
- 웹 사이트에 처음 방문하게 되는 그 페이지의 URL만 취급
- 구글 애널리틱스의 전환 계쩡은 전환율 상승을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는 리포트
- 고객의 행동 여정 알 수 있음
- 유입경로 시각화 리포트
- 특정 목적지 및 단계 설정
- 단계별 전환율과 이탈율 파악
- 고객의 행동 여정을 세팅해서 각 단계별 전환율과 이탈률을 파악할 수 있음
- 전자상거래 리포트
- 쇼피몰 운영하는 분들 파악 필수
- 쇼핑 행동 보고서 리포트
- 유입경로 시각화 페이지보다 전환율과 이탈률에 대해 더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
- 제품 실적 보고서 리포트
- 상품 측정기준은 상품 데이터를 담아 코딩으로 직접 내보내야 함
- 속성 설정 : 브랜드의 플랫폼 단위(웹사이트/모바일 앱/모바일 웹 등)
- UA : 구글 애널리틱스 3버전 Universal Analytics(상용 애널리틱스)로 통칭
- GA4 : 구글 애널리틱스 4버전. 2019년 11월 정식 출시하여 서비스 시작
- 차이점
- UA : 상용화된 애널리틱스, 웹사이트 추적에 최적화됨
- GA4 : 웹사이트와 어플리케이션 동시 추적,분석 가능
- 범용 사이트 태그
- 웹사이트의 코드에 대한 수정 권한 필요
- 범용 사이트 태그 추적 코드를 복사 후 우리 웹사이트에 붙여넣기
-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코드 삽입 후 실시간 리포트 관측으로 설치 확인이 가능함
- 필터,보기의 설정
- 보기 : 원하는 항목에 맞게 필터 적용 -> 맞춤 설정 -> 데이터 간접 필터링
-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의 웹 사이트 맞춤 세팅 영역은 계정, 속성, 보기의 3가지 영여긍로 나뉨
- 계정은 특정 브랜드를 나누는 단위, 속성은 플랫폼을 나누는 단위, 보기는 데이터 뷰를 나누는 단위
- 보기 단위는 필터를 적용해 데이터를 간접적으로 필터링 하는 것으로, 보기는 필터에 의해 정의됨
- 필수적인 보기 데이터
- 전체 웹사이트 데이터 뷰
- 어떠한 필터도 거치지 않은 RAW 데이터
- 데이터 분석의 기본이 되고, 필수적임
- 마스터 뷰
- 순수한 고객의 데이터만 볼 수 있는 분석 용도의 보기
- 테스트 뷰
- 내부 구글 애널리틱스 관리자가 설정이 잘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테스트 용도
- 전체 웹사이트 데이터 뷰
- 목표
- 우리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주요 행동들의 전환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것
- 제약사항
- 하나의 보기당 목표는 최대 20개 생성 가능
- 목표 생성 시, 삭제 불가
- 만들어 둔 목표의 수정 세팅 가능
- 4가지 유형
- 도착 : 특정 페이지 URL에 사용자가 유입되어 발생되는 목표
- 시간 : 웹사이트의 방문 체류시간 도달 시, 발생되는 목표
- 페이지 뷰 : 특정 횟수 이상의 페이지뷸 발생으로 일어난 전환율이 목표
- 이벤트 : 페이지 로딩 이후 버튼 클릭, 스크롤 등 상호작용 발생되는 목표
- 목표를 맞춤 세팅하여 전체 사용자 수 대비 전환율을 관측할 수 있음
- 다차원 리포트
- 측정 기준이 3개 이상인 리포트로, 맞춤 리포트를 통해 설정 가능
- 측정기준 3개 이상의 다차원 리포트를 보려면 보고서 유형을 [플랫 표]로 선택해야 함
- 보고 싶은 데이터 정의 -> 측정기준과 측정항목 세팅
-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
- 차트 선택 - 측정 기준 설정 - 측정항목 기재 - 데이터 시각화
-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는 데이터 파악에 용이한 특정 차트를 선택해 데이터를 시각화 시킬 수 있음
- 찾고 있는 측정 항목이 없다면 [필드 만들기] 기능을 활용할 수 있음
-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를 통해 리포트 자동화 업무를 구현할 수 있고, [공유]기능이 있어 협업에 용이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