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
gro-w-up/clean-architecture

Folders and files

NameName
Last commit message
Last commit date

Latest commit

 

History

81 Commits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
Repository files navigation

🧭 방향

  • 목표 : 그룹 스터디 진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저장소를 운영한다.

⌚ 매주 주말 1회 1시간

  • 장소 : 디스코드

🤔 방식

  • 1️⃣ clean-architecture 프로젝트를 자신의 계정으로 fork합니다.
  • 2️⃣ fork한 repository를 개인 컴퓨터에 clone합니다.
  • 3️⃣ 매 주 목표의 독서량을 읽고 정리하여 코드 저장(commit) & 원격 저장소 저장(push)를 합니다.
  • 4️⃣ github에서 PR(pull request)를 작성합니다.
    • PR 출발지는 fork한 자신의 저장소의 3️⃣번에서 생성한 branch로 한다.
    • ex) clean-architecture:master <- clean-architecture:origin/master
  • 5️⃣ 커밋 메시지를 작성합니다. PR 규칙 및 Commet Message 규칙 참고
  • 6️⃣ PR들을 merge합니다.
  • 7️⃣ 이후, 각자 본인의 폴더에 장.별로 구분하여 동일한 방식(1-6)으로 코드를 관리하며 스터디를 완료합니다.
1부
ㄴ 1장 (자유)
  ㄴ 노아.md

🤙🏻 PR 규칙 및 Commit Message 규칙

  • Pull Request (공용 저장소)

    • 이름 장 제목
    • ex) 노아 1장 ~~~ 완료
  • Commit Message (개인 저장소)

    • 장 제목
    • ex) 1장 ~~ 완료

목차

1부 소개

  • 1장 설계와 아키텍처란?
  • 2장 두 가지 가치에 대한 이야기

2부 벽돌부터 시작하기: 프로그래밍 패러다임

  • 3장 패러다임 개요
  • 4장 구조적 프로그래밍
  • 5장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
  • 6장 함수형 프로그래밍

3부 설계 원칙

  • 7장 SRP: 단일 책임 원칙
  • 8장 OCP: 개방-폐쇄 원칙
  • 9장 LSP: 리스코프 치환 원칙
  • 10장 ISP: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
  • 11장 DIP: 의존성 역전 원칙

4부 컴포넌트 원칙

  • 12장 컴포넌트
  • 13장 컴포넌트 응집도
  • 14장 컴포넌트 결합

5부 아키텍처

  • 15장 아키텍처란?
  • 16장 독립성
  • 17장 경계: 선 긋기
  • 18장 경계 해부학
  • 19장 정책과 수준
  • 20장 업무 규칙
  • 21장 소리치는 아키텍처
  • 22장 클린 아키텍처
  • 23장 프레젠터와 험블 객체
  • 24장 부분적 경계
  • 25장 계층과 경계
  • 26장 메인(Main) 컴포넌트
  • 27장 ‘크고 작은 모든’ 서비스들
  • 28장 테스트 경계
  • 29장 클린 임베디드 아키텍처

6부 세부사항

  • 30장 데이터베이스는 세부사항이다
  • 31장 웹은 세부사항이다
  • 32장 프레임워크는 세부사항이다
  • 33장 사례 연구: 비디오 판매
  • 34장 빠져 있는 장

7부 부록 부록 A 아키텍처 고고학

About

클린 아키텍처 도서 스터디입니다.

Resources

Stars

Watchers

Forks

Releases

No releases published

Packages

No packages published